직장 생활의 마지막 보상인 퇴직금은 단순한 ‘마지막 월급’이 아닙니다.
제대로 계산하고, 세금과 노후 준비까지 계획한다면 큰 재산 형성의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퇴직금 계산 공식, 실제 계산 예시, 세금 절세 팁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📌 퇴직금이란?
퇴직금은 근로자가 1년 이상 계속 근무 후 퇴직할 때 지급받는 법적 보장금입니다.
근로기준법 제34조에 따라 사용자는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며,
퇴직금은 근로자의 노후 생활 안정과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.
* 고용주는 퇴직하는 근로자에게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해 30일분 이상의 평균임금을 퇴직금으로 지급해야 함
* 평균임금: 산정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 동안 지급된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
* 평균임금이 근로자의 통상임금보다 적으면 그 통상임금을 평균임금으로 함
📊 퇴직금 계산 공식
- 1일 평균임금
퇴직일 이전 3개월간 지급받은 총 임금 ÷ 해당 기간 총 일수 - 재직연수
근무한 전체 연수 (1년 미만은 월 단위 계산, 1개월 미만은 일 단위 계산)
*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퇴직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편리합니다.
https://www.moel.go.kr/retirementpayCal.do
📝 실제 계산 예시
사례 1
- 월급: 300만 원
- 근속연수: 5년
- 최근 3개월 총 급여: 900만 원
- 1일 평균임금: 900만 ÷ 90일 = 10만 원
- 퇴직금: 10만 × 30일 × 5년 = 1,500만 원
사례 2 (성과급·상여 포함)
- 월급: 250만 원
- 최근 3개월 상여금: 100만 원
- 3개월 총 급여: (250만 × 3개월) + 100만 = 850만 원
- 1일 평균임금: 850만 ÷ 90일 = 94,444원
- 퇴직금: 94,444 × 30 × 7년 = 1,984만 원
📌 퇴직금 계산 시 주의사항
- 상여금·수당 포함 여부
- 근로계약서에 ‘정기적·일률적’ 지급 명시가 있으면 포함
- 무단결근·휴직 기간
- 평균임금 계산 시 포함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
- 중간정산 가능 사유
- 주택 구입, 전세 자금 마련, 본인·가족 장기 요양 등
📉 퇴직금과 세금
퇴직금에는 퇴직소득세가 부과됩니다.
다만, 근속연수 공제와 퇴직소득공제가 적용되어 일반 근로소득세보다 부담이 낮습니다.
근속연수 | 퇴직소득공제 |
5년 이하 | 연 30만 원 |
5년 초과~10년 이하 | 연 50만 원 |
10년 초과 | 연 80만 원 |
💡 팁: IRP(개인형 퇴직연금) 계좌로 이체하면 퇴직소득세를 최대 30% 절감할 수 있습니다.
📈 퇴직금 활용 전략
- 퇴직연금·IRP 계좌 이체 → 세금 절감 + 장기 투자 가능
- 안정형 금융상품: 정기예금, 채권형 펀드
- 중위험·중수익 투자: 배당주, 인컴펀드, ETF
- 주택마련: 전세보증금·주택담보대출 상환
💬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퇴직 전에 퇴직금 중간정산이 가능한가요?
→ 네, 법령에 정한 일부 사유(주택 구입, 전세자금, 장기 요양 등)만 가능하며, 증빙 서류가 필요합니다.
Q2. 퇴직금은 회사 사정에 따라 분할 지급이 가능한가요?
→ 원칙적으로 퇴직일로부터 14일 이내 전액 지급이 원칙이며, 근로자 동의가 있어야 분할 지급 가능합니다.
Q3. 퇴직금이 안 나오는 경우도 있나요?
→ 근속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,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퇴직금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.
💡 결론
퇴직금은 단순한 퇴직 보너스가 아니라 노후와 재정 계획의 핵심 자산입니다.
정확한 계산과 세금 절감 전략을 세우면, 퇴직 이후 재정적 안정과 자산 증식을 동시에 노릴 수 있습니다.
IRP 이체, 절세, 안정적 투자까지 고려한 종합 전략으로 퇴직금을 지켜보세요!!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💍 배우자 증여세 면제 한도와 절차 (1) | 2025.08.19 |
---|---|
🚗 자동차 보험료 절약하는 꿀팁 7가지 (0) | 2025.08.18 |
💵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와 절세 팁 (0) | 2025.08.18 |
💰 IRP 계좌와 연금저축펀드, 어떤 게 더 유리할까? (0) | 2025.08.14 |
💳 신용점수 올리는 5가지 빠른 방법 (1) | 2025.08.14 |
임금피크제와 퇴직금, 어떻게 연결될까? (2) | 2025.08.13 |
💸 퇴직금 세금 절세, 이렇게 하세요 (2025 최신 가이드) (1) | 2025.08.13 |
“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, 최대 2억·금리 2%대 조건 가이드” (1) | 2025.08.12 |